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 사설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사설]또다시 터진 대형 화재, 재발대책 없나
 
화성신문 기사입력 :  2024/07/09 [11:37]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아리셀 공장 화재로 인한 사고는 2022년 향남 제약공단 사고와 일견 닮은 점이 있다. 올해 1월에도 양감면 한 위험물 취급 사업장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유해화학물질과 이를 포함한 소방 용수로 큰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우리는 또 2015년 중국 텐진항에서 발생한 유해화학물질 폭발사고로 1000여명의 인명피해를 입은 것을 기억한다. 

 

이 같은 대내외 사고에서 축적된 경험은 유해화학물질은 아무리 관리해도 지나치지 않다는 것이었다. 저장, 취급 상태에 따라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변하고, 한번 사고가 발생하면 인명이나 재산피해가 막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다시 국내 화학공장 발생 사고 중 가장 큰 참사로 기억될 아리셀 공장 화재가 발생한 것은 여전히 제대로 된 대비가 되지 않았다는 것이어서 아픔이 더욱 크다. 

 

아리셀 공장은 비교적 최근인 2018년 건설됐음에도 불구하고 화재는 걷잡을 수 없었다. 리튬 배터리와 관련된 사고는 한번 발생하면 진압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이미 전기차 화재로 인해 위험성도 인식하고 있었다. 

 

화재가 발생한 아리셀 공장이 3년 연속 위험성 평가에서 ‘우수사업장’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우려는 더욱 커졌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도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보여주기식이었다는 반증이기 때문이다. 

 

화성시는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공장과 제조장을 갖고 있다. 리튬 배터리는 물론 반도체 세정 공정, 도금, 염색 등에 필요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소도 많다. 이러한 유해화학물질이나 배터리는 산업에 있어 필수적 요소여서 무조건적으로 사용을 줄이거나 금지시킬 수도 없다. 

 

정부는 사고 발생 후 ‘전지 등 화재위험 방지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고, 7월 중 희생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산업안전 강화 방안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문제점이 드러난 위험성 평가 인정 사업에 대해서는 전면 개편을 목표로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 

 

그러나 재발방지책을 중앙정부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 서술한 바와 같이 공장과 제조장이 즐비한 화성시의 특성상 그 어느곳보다 유사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물론 현행법상 기초지자체인 화성시가 산업안전시설 단속, 안전 관리 권한을 가질 수는 없다. 다만 정부의 조치와는 별도로 화성시 차원의 재발 방치책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아리셀 화재 후 화성산업진흥원 내 산업안전본부를 신설해 제대로 된 진단, 지원체계를 마련할 계획임을 밝혔다. 

 

화성시가 추진하는 ‘안전도시 화성’을 건설하고 대형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산업안전본부’와 같은 화성시 내 안전 관련 컨트롤타워 구축이 가장 시급할 때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화성신문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목록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