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뉴스 > 문화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소다미술관 공공예술 프로젝트 전시
세상을 향한 다양한 메시지를 수집하고 펼치며 세상과 소통하는 전시
 
신호연 기자 기사입력 :  2024/06/07 [15:26]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2024 ‘Hello, world!_당신의 목소리를 입력하세요’ 포스터.

 

소다미술관(관장 장동선)67~97일 이 시대의 다양한 목소리를 공동체와 공유하는 공공예술 프로젝트 ‘Hello, world!_당신의 목소리를 입력하세요를 전시한다.

 

소다미술관은 개관 이래 동시대 아티스트들의 매개자로 그들의 목소리를 대중에게 전달하며 우리 사회에 필요한 이야기를 펼쳐 왔다. 2024년 소다미술관의 역할을 공공으로 확장하는 실험의 프로젝트 ‘Hello, world!_당신의 목소리를 입력하세요를 기획했다. Hello, world!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첫 번째 출력 문장으로, 새로운 세상의 문을 여는 인사말과 같다. “Hello, world!”로 시작해, 다양한 사람들이 세상을 향한 메시지로 다음 문장을 채워 넣으며 만들어가는 전시다. 웹을 통해 세상에 전하고 싶은 대중들의 목소리를 수집하고, 이를 예술가들과 야외 전시장에 펼치며 세상과 소통하는 시간을 갖는다. 소다미술관은 시대를 대변하는 목소리를 선정해, 명료하고 아름답게 전달하는 방법을 건축가 디자이너와 모색한다.

 

전시에 참여하는 그라운드아키텍츠, 에스오에이피, 프랙티스는 공공에게 텍스트를 경험할 수 있는 게시대를 파빌리온 구조로 제안한다. 파빌리온은 조립과 해체가 가능한 가설재를 이용해 설계된다.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도시로의 확장 가능성을 가진 파빌리온은 열린 구조의 형태로 다양한 목소리를 담을 수 있는 작은 미술관이 된다. 파빌리온에 첫 번째로 게시되는 텍스트는 파빌리온의 설계자인 건축가 및 디자이너의 목소리다.

 

그라운드아키텍츠의 김한중 건축가는 가설재의 조립과 해체라는 순환구조를 도시의 집단과 개인의 메시지로 치환해 두 개의 파빌리온을 제안한다. 상반된 구조와 소통 방식을 병치하며 도시의 단면을 압축적으로 드러낸다. 에스오에이피의 권순엽 건축가는 가설재를 X자로 교차한 긴 터널의 파빌리온으로, 게시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관객들에게 공간 경험을 제공한다. 건축가는 공간과 텍스트로 삶에 대한 시선과 태도를 관객과 공유해 나간다. 프랙티스의 이시산 안서후 디자이너는 개발 중인 도심 속에 자연을 간직하고 있는 전시장의 장소성에 주목했다. 햇살, 바람 등 공간의 감각 경험을 확장하는 파빌리온과 자연의 명상적 텍스트를 연결시키며, 도심 속에서 자연의 숭고함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소다미술관 장동선 관장은 이번 전시는 예술의 개념을 확장하고, 적극적으로 대중과 소통하며, 일상으로 들어가기 위한 소다미술관의 공공예술 프로젝트 도시는 미술관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공동체와 함께 세상을 위한 그리고 세상을 향한 다양한 목소리를 수집하고 펼치며, 서로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다른 사람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포용성을 확장해 나가는 실험을 2년간 지속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관람시간은 매주 화요일~토요일 10:00~18:00이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자세한 문의는 070-8915-9127 (museum.soda@gmail.com)로 하면 된다.

신호연 기자(news@ihs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화성신문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목록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