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 사설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사설] 화성시 도시재생의 필요성
 
화성신문 기사입력 :  2019/07/01 [09:40]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동탄1·2신도시, 남양신도시, 송산그린시티, 향남1·2신도시 등 대규모 택지개발이 이뤄지면서 기존 구시가지가 상권이 악화되는 등 상대적인 피해를 입고 있다. 

 

새로운 상권이 일어나면서 기존 세입자들이 밀려나는 이른바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도 크나큰 문제지만, 이처럼 새로운 상권으로 인해 기존 상권이 침체되는 현상도 간과할 수 없는 사회적 문제다. 대규모 개발이 이어지고 있는 화성시의 경우 심각성은 더욱 크다. 자칫 신규 상권이 구 상권을 완전히 대체하면서 구도심의 슬럼화가 이뤄지는 도심 공동화도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방안은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손꼽힌다. 도시재생사업은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악화돼가는 구도심의 도시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정부의 핵심 사업이다. 화성시도 황계(선도), 송산, 남양, 매송, 봉담, 황계(일반), 병점, 화산, 향남, 우정 10개 지역을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경기도로부터 승인받고 본격적인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일례로 병점과 송산의 도시재생사업이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면 구시가지의 노후 주택정비, 도시기능 재활성화는 물론, 일자리 창출 효과까지 1석3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계획 추진과정에서 주민이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애향심과 지역에 대한 자부심을 높일 수 있는 부수적 효과도 있다.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판에 박히지 않은 특화된 사업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기존 도시재생사업 지역을 답습할 경우 자칫 의미없는 예산낭비로 흐를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병점은 병점답게’, ‘송산은 송산답게’ 각 지역에 걸맞는 특색있는 도시재생사업이 이뤄져야만 기존의 구시가지가 신시가지와 조화를 이루며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주민들은 머리를 맞대고 의견을 나누며 보다 나은 지역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논의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싸우면 싸울수록, 다투면 다툴수록’ 보다 좋은 의견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본격적인 도시재생사업 추진과정에서 나올 수 있는 알력을 미연에 방지하고, ‘나’의 이득보다 ‘우리’의 이득을 우선시하는 성숙한 태도 역시 치열한 논의과정에서 나온다. 

 

지난달 23일 경기도가 승인한 ‘2035년 화성 도시기본계획 수립(안)’에 따르면, 2035년 119만6,000명의 대형도시로 성장한다. 이 과정에서 시의 도시공간구조도 동탄, 병점, 향남, 봉담, 남양, 송산 등 6도심과 정남, 양감, 팔탄, 장안, 우정, 매송, 비봉, 마도, 서신 등 9지역으로 재편된다. 6도심과 대등한 9개 지역의 발전의 핵심은 ‘도시재생’이고 이의 성공은  주민들의 참여와 열성에 달려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화성신문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목록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