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 기고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보고서-경기연구원 ‘농업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이 필요할 때’]
코로나 이후에도 농업 인력 부족 현상 지속·확대할 것
 
화성신문 기사입력 :  2022/04/11 [08:38]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코로나19로 외국인을 비롯한 농촌 노동력 확보가 더 어려운 가운데 농업경영인 10명 중 9명은 코로나19 종료 이후 농업 인력 부족 현상의 지속·확대를 예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만성적인 농업 노동력 감소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농업 경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 고용 서비스 확대 등 농업 인력 고용 구조 전환을 제안했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2월 18일부터 21일까지 전국 농업 경영인 28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 설문조사를 진행한 ‘농업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이 필요할 때’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90.1%는 ‘코로나19가 종식된 이후에도 농업 인력 부족이 지속·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 국내 농림어업 취업자는 1976년 551만4000명에서 2021년 145만8000명으로 줄어드는 등 만성적인 노동력 감소 현상을 겪고 있다.

 

이러한 인력 공백을 외국인 근로자로 채웠지만, 코로나19로 외국인 입국이 제한되면서 어려움은 더 커지고 있다.

 

농업 인력 확보의 어려움 요인(중복 응답)으로는 농업 근로자의 임금 상승(20.2%), 고된 노동 강도(17.6%), 농가 고령화 및 과소화(13.7%), 농번기 등에 인력 수요 급증(12.7%), 감염병 재발생에 따른 외국인 노동자 입국 제한(11.0%) 등을 주로 꼽았다.

 

특히 농업 경영인들은 코로나19로 인건비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는데, 이번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6.1%가 코로나19 이전보다 더 높은 수준의 인건비 상승을 경험했고, 이들의 88.2%가 농가 경영에 압박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응답자들은 농업 노동력 감소가 농가 생산감소를 비롯한 농업 경영 어려움(88.7%),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인한 소비자 부담 가중(87.7%), 농촌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 소멸(87.6%), 농산업 자생력 감소(86.9%), 다원적 가치 창출 기능 감소(85.5%) 등 다양하게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연구원은 농업 인력 고용 구조 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진단하면서 그 핵심으로 ‘공공 고용 서비스 확대’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민간(사설) 인력소개소 양성화 및 민간과 지자체 간의 협업 시스템인 ‘경기도형 인력중개시스템’을 구축해 음성적인 인력 고용 방식에 따른 부작용을 완화하고, 수도권 이점을 살려 인력 고용의 안정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소규모 단기 노동 수요를 희망하는 중소농가 지원 ▲밭농업 기계화율 향상을 통한 노동 수요 부담 완화 ▲농작업 대행을 통한 농작업 서비스 체계 활성화 ▲중장기적인 농업 노동력 수급 전망 등을 제안했다.

 

김용준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농가의 고령화·과소화로 농업 노동력 부족이 심화하고, 비제도권 중심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 구조는 지속 가능한 농업 인력 정책 수립을 어렵게 한다”며 “지자체의 공공 고용서비스 강화를 통한 안정적인 농업 인력 공급 시스템 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화성신문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목록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