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 칼럼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손택수 시인 칼럼 11] 바다 초대장 이혜숙
 
화성신문 기사입력 :  2023/12/08 [20:40]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손택수 노작홍사용문학관 관장     ©화성신문

           바다 초대장

 

           해수면은 유빙처럼 삶의 조각들 떠다니고

           초대하지 않은 초대장을 거머쥐고

           눈 속의 바다를 바라본다

 

           햇빛 쏟아지는

           건반 위를 표류하듯

           맨발의 물고기는

           어망에 낀 햇살을 쪼아 먹는다

 

                                        풍랑을 몰고 온 뱃길을 지우고 발목은

                                       지우개처럼 닳아 간다

 

                                       망망대해를 떠돌다 헤엄쳐 왔을 물고기는

                                       나고 자란 곳도 귀소해야 할 곳도

                                       깊은 물속이라는 것을 알고 있을까

 

                                       햇살과 잇닿아 쑹덩쑹덩 자라는 물고기에게

                                       날개를 달아 줘야지

 

                                       부활을 꿈꾸는 새는

                                       언젠가는 다른 바위에 앉았다가 사라지고

                                       사라졌다가 앉을 것이다

 

                                       잊힌 이름들

                                       모서리가 깎이면 깎이는 대로

                                       물거품으로 부서지는 생을 앓는다

 

                                       생(生)은 뜻밖의 초대장을 받을 때도 있다

 

                                      (『카스토르와 폴룩스』, 천년의 시작, 2023)




 

 

이혜숙 시인의 ‘카스토르와 폴룩스’가 문학관 사무국 책상 위에 놓여 있다. 서적용 봉투의 육필을 보니 단정한 맵시에 청아한 기운이 감돈다. 문학관에 행사가 있을 때 잠깐 눈을 마주친 시인인데 화성에서 활동하고 계신 줄은 몰랐다. 책날개의 작가 약력엔 2009년도 등단. 첫 시집 발간이 늦은 편이다. ‘망망대해를 향해 헤엄쳐 왔을 물고기는/ 나고 자란 곳도 귀소해야 할 곳도/ 깊은 물속’으로서의 시라는 걸 이제 알게 된 것일까. 물고기에게 날개를 달아주고 새에게 부활의 꿈을 잊지 않도록 시인은 모든 생명이 시작된 태초의 시원이자 영원한 미지의 총체로서의 바다로 우리를 초대한다. 

 

그 바다엔 ‘잊힌 이름들’이 있다. 지난한 삶의 파고를 견디면서 ‘모서리가 깎이면 깎이는 대로/ 물거품으로 부서지는 생을 앓는’ 바로 동시대의 면면들이다. 이 '뜻밖의 초대장‘은 ‘2023 화성예술활동지원 사업’의 지원작으로 선정되어 출판된 것이다. 흐뭇한 일이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화성시와 화성시문화재단엔 문학의 경우 창작지원금제도가 없었다. 오랜 세월 동안 다른 지역의 문인들은 다 누리는 혜택을 왜 화성의 문인들만 누리지 못했는지 알 수 없는 일이었다. 기초예술에 속하는 문학의 경우 현실적으로 자비출판 비율이 높고 신인들의 경우는 진입장벽마저 높은 편이어서 작품집 출간이 녹록찮다. 

 

이삼십 대 청년 작가층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웹소설이나 융합 장르에 대한 기민한 관심을 가진다면 여느 지역과는 차별화된 위상 또한 가능하리라. 기회가 있을 때마다 문제를 제기했고 소액이나마 마침내 문학도 제도의 그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만시지탄이었으나 지역 문인들의 호응은 뜨거웠다. 그 결실 중 하나가 이혜숙 시인의 첫 시집이다. 판권란에 숨어 있는 화성문화재단의 로고가 과한 편이니 조금 더 검박해졌으면 좋겠다. ‘진수무향 진광불휘(眞水無香 眞光不輝)’라고 했던가. 참으로 좋은 물은 향기나 냄새가 나지 않으며, 참된 빛은 반짝이지 않는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화성신문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목록
광고
광고